이야기할 주제

 

여러분의 일상에서 "무엇이 어떻게 바뀐다면" 제주가 더 스마트해질까요?


제주의 건전한 시민들과 함께 어떤 주제, 문제, 제안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싶으세요?


제주스마트시티 - 제주도민이 함께 만들어갑니다!


가볍게 이야기퍼스널 모빌리티를 활용한 대중교통 이용편의성 증대 방안 (리빙랩 아이디어 모집 이벤트)

2021-02-26
조회수 601
  • 현재 제주도는 대중교통 개편으로 인하여 대중 교통 이용이 편해진 동네도 있고, 다소 불편해진 동네도 있습니다. 그렇게 다소 불편해진 동네에 공유 모빌리티를 배치하여 이용자의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해소시켜 준다면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 증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제주도는 중산간 마을이 많은 편인데, 중산간 마을들은 버스의 배차 간격이 다소 큰 편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마을 단위로 공유전기차 또는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굳이 자기차가 없더라도 생활의 불편함 부분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역할을 분명 공유 모빌리티가 해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1.이용객의 구분을 먼저 선행(대중교통만 이용-현행대로 이용, 대중교통+모빌리티 이용-프리 패스카드 발급 이용) 
    2. 대중교통과 모빌리티 통합으로 사용 가능한 프리 패스카드 발행 
    3.제주도민용 상시 할인용 
    4.관광객용 회 제한 프리 패스카드 발행
    5.기대 효과-대중교통과 모빌리티 이용객의 편의성 개선, 수요 집중 지역에 모빌리티 터미널 구축해서 사방에 흩어져 있는 모빌리티 관리 극대화


  • 우선 위에 수요응답형 버스에 대해 이해하고자 들어가서 확인해 보았는데요. 설명을 이해 쉬운 콘텐츠로 만들어 주면 좋을 것 같아요. 읽어도 사실 어떤 서비스인지 잘 모르겠어요. 사용 설명에 대한 자세한 영상 등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 출퇴근 시간에 버스는 혼잡하고 불편한 경험이 있어요! 전동 킥보드 정류장을 다양한 곳에 만들어서 붐비는 출퇴근 시간에 이용하면 편할 것 같아요


  • 아침에 출근길에 보면 우리 동네에도 공공 전동 킥보드가 세워져 있더라고요. 앱 알림 설정을 통해 전날 미리 가까운 곳에 전동 킥보드가 있는지 확인하고 예약을 걸어두면, 다음날 아침에는 한번쯤은 킥보드로 출근을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수요응답형 버스에서 한층 더 발전시켜서 카카오택시처럼, 관광객들이 전기차를 콜해서 운전자가 있는 전기차를 탈 수있다면 어떨까요?


  • 시외지역에서 노인들 대상으로 병의원 진료 시 등에 이용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거동불편하신부들도 쉽게 승하차 할수있는 차량이 마련되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 퍼스널 모빌리티를 활용하여 도민 또는 관광객들이 활용 증대성을 높이기 위해 거점별, 지역별로 분산하여 운영한다면 대중교통의 대용으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되며, 퍼스널 모빌리티 활성화 정착 이전까지는 교통량이 집중되는 아침 출근시간과 저녁 퇴근시간에는 도심지역 운영을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시행하였으면 합니다.


  • 걸기에는 멀고 택시나 대중교통을 기다려야 하는 올레길 혹은 마을단위로 활발히 운영


  •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위치에 와야


  • 사용자가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중교통 역할 활성화를 위해 도민 출퇴근, 외지인 관광용을 구분하여 활성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였으면 한다. 예를 들어 도민 출퇴근 시간에 버스차로를 통합하여 사용하는 방안, 도심밖에는 자전거 도로 등을 정비하여 관광객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면 한다.


  • 지금의 수요응답형 버스 설계는 '거점형 택시'라고도 보입니다. 원하는 때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인 것이죠. 문제는 어떻게 거점까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서, 택시가 아니라 버스처럼 이용 가능하게 할 것인가. 인 것 같습니다. 배달의 민족 - 배민 라이더스와 같은 방식을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제주라이더스. 인 것이죠. 제주는 자차보유 비율이 전국에서도 손꼽히게 높은 도시이고, 여러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법제도의 개선이 가능하다면 수요응답형 버스 거점까지의 이동을 원하는데, 거점까지의 거리가 멀거나 교통약자가 이용할 때는 그 구간까지 픽업이 가능한 주변 차량이 바로 검색되도록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이죠. 그 시간대에 차는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되는 주민은 해당 구간까지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정의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근거리에 기반해서, 몇 몇 신뢰도를 얻는 라이더스가 등장할 것이고, 동네의 대표 라이더스가 꾸준히 생성되는 방식으로요. 당근마켓 + 배달의 민족을 합친 방식으로 '거점까지의 이동' 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수요응답형 버스를 잘 활용하면 제주 상황에 특화된 마을버스 체제를 만들 수 있다. 제주의 경우 육지 마을버스처럼 배차 시간과 승하차 장소를 정해서 마을버스를 운용하기에는 수요가 부족하다. 수요응답형 마을버스를 운행하는 것이 훨씬 제주 상황에 적합하다. 출퇴근이나 등하교 시간에는 사전 등록된 인원을 대상으로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그 이외 시간에는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수요에 대응해서 운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셔틀+DRT, 이 체제가 마을버스의 새로운 형태를 보여주는 "제주형 마을버스" 체제가 될 것이다.


  • 대중교통이 혼잡한 시간대에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이용자가 많지않을까요? ex) 대학가, 시청
0 0

Tel. 064-901-8003 | Fax. 0303-3442-2443 | support@jejusquare.com
Addr.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남성로 159. 201호  ㅣ 사업자번호: 502-86-40671

© 2022 제주스마트시티챌린지리빙랩 . All Rights Reserved.

호스팅 by 아임웹